HS-kbio

이런분께 권합니다.

임상 효능 사례

메시마는 항암면역조절제로써 다양한 임상 효능을 지니며 특히 소화기계 암에 있어서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앞에서 전술한 면역조절기능에 의하여 메시마는 인체내에 자생하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키고 부작용이 많은 항암 화학제제와 함께 치료를 받을 시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을 감소시키므로 치료 효과를 배가시킨다. 메시마의 임상 효능 사례는 일본의 Yamana 선생 (西條中央病院), 한국의 충남대, 전남대, 서울대, 연세대등의 전문 의료진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Notice: 함수 map_meta_cap이(가) 바르지 않게 호출됐습니다. 글 유형 wmpc-trash이(가)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해당 유형의 글에 대해 edit_post의 권한 점검은 신뢰성이 없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워드프레스 디버깅하기를 보세요. (이 메세지는 버전 4.4.0에서 추가되었습니다.) in /mesima/www/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6121

임상효능 사례

특히 새로운 생체반응조절제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BRM)의 개발 소재원으로 미국, 일본등의 선진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버섯류의 성분으로서는 다당류로 이미 의약품으로 개발 시판되고 있다.

특히 다른 버섯류에 비해 위의 내용과 같이 상황의 균사체로부터 생산하는 메시마의 경우 면역촉진효과 뿐 만 아니라 성인병 예방 치료 효과를 지닌다. 메시마는 항암면역증강치료제인 전문 의약품으로써 가치 뿐만 아니라 버섯류가 지닌 다양한 기능성을 복합적으로 지녀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현대인의 건강식품으로 알맞다.

임상사례 1.

장기간 메시마 면역요법하에 위암 효능

일본 西條病院 山名征三 선생, 일본 진료와신약 학술지 발표자료, 1988년

치료 대상

78세 남자
(위암 말기 환자로 위 전체에 암세포가 퍼져 있은 상태로
수술불능이며 남은 수명이 2 내지 3개월임)

치료 약물

메시마를 1일당 2g씩 투여

치료 효과

  1. 통증이 사라지고 양호한 전신상태 유지
  2. 식욕부진, 악액질이 관측되지 않음
  3. 간의 직경1cm의 LDA, 폐의 腫瘍影 소실
  4. 1년 6개월후 갑작스런 하혈에 의해 사망하였으나, 하혈이 없었다면 수명 연장이 기대되었음.

임상사례 2.

위암 수술환자에 대하여 메시마의 면역화학요법의 평가

일본 西條病院 山名征三 선생, 일본 진료와신약 학술지 발표자료, 1990년

치료 대상

Stage IV 위암(말기)으로 진단된 환자 22명을 대상
(主病部 수술대상 10 증상예,
개복은 하였으나 主病部를 수술하지 않은 대상 12 증상예)

치료 대상

메시마 1일당 3g 사용

치료 효과

  1. 식용항진
  2. 부종경감
  3. 체중증가
  4. 얼굴색 개선, 암에 의한 내피반응의 증강 NK 세포활성의 항진

메시마 투여군과 비 투여군의 비교

위 그림은 화학요법제 mitomycine C (MMC)와 후토라후르, 메시마를 병용처리시의 말기 대상 환자에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로써 메시마 투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명 연장이 됨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메시마 투여환자 말초혈액 림프구의 NK 활성

이 그림은 Target cell로 k-562 세포를 effector cell로 사림의 말초 임파구를 사용하여 NK 활성을 조사한 결과 메시마 투여후 28일 째 활성이 급상승함을 입증하는 자료로 메시마의 면역증강활성 기능이 임상에 적용됨을 쉽게 알려주는 결과이다.

임상사례 3.

면역 메시마 다당류의 각종암환자에 대한 사용경험

일본 西條病院 山名征三 선생, 일본 진료와신약 학술지 발표자료, 1990년

치료 대상

말기위암환자 6명, 폐암 4명, 간암 6명, 식도암 2명, 직장암 5명등 총 남자 16명과 여자 14명의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메시마 추출물을 1일당 1-6g을 사용하였다.

치료 결과

  1. 통증경감
  2. 식욕개선
  3. 체중유지
  4. 의욕항진
  5. 암에 대한 내피반응의 증강

메시마 투여환자 임파구의 PHA, Con-A 반응

메시마의 각종 암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효능의 결과로 위의 그림은 임파구의 증식에 영향을 주는 mitogen인 PHA와 Con-A에 대한 메시마 투여환자 모두가 미치료암환자보다 훨씬 더 정상인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므로 인체내에서 메시마가 면역반응을 증강하여 항암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임상사례 4.

위암 수술후 항암제와 메시마 병용투여에 대한 임상적 관찰

충남대 의대 정현용 교수, 일본대체의료학회발표자료, 2000년

치료 대상

제3기 진행 말기 위암환자

치료 약물

수술후 메시마 3g
후루툴론(Furtulon, doxifluridine) 600㎎을 매일 2년이상 경구투여

치료 결과

  • 치료기간중 재발하여 사망한 예는 3예(전체의 3.2%)였다.
  • 그 외 90예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치료를 계속하고 있다.
  • 치험례의 경우 전이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치료대상 환자중 재발율
  1. 위암의 내시경사진 사진으로 우측 윗부분이 병반
  2. 추적조사에 의한 간장에 암전이 판명
  3. 메시마에 의한 간장의 전이암이 소실됨
  • 토혈의 증세로 내원한 64세의 남자로 내시경검사에서 Borrman type III의 궤양성 병변이 있고 궤양저에 두꺼운 혈괴가 있습니다(사진1)
  • 수술 전에 임파절의 전이가 있었다. 수술 후의 병기는 제III기 후기로 항암제인 ELF로 3차 보조치료를 하였으나 간전이가 판명되었다(사진2)
  • 그 후 항암제(시스플라틴과 5-FU)를 4회 투여한 후 2000년 3월부터 메시마와 후루툴론을 투여하여 7개월 이후 간의 전이가 소실되었습니다 (사진3)
  • 분명히 이는 메시마의 효능에 의한 것이라고 주치의는 단정하였다.
  •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메시마는 위암 수술 후 보조치료의 일환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면역치료제로 사료된다.
  • 간 전이에 대한 우수한 치료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항암제와 메시마를 병용투여함으로서 부작용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암 치료법의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임상사례 5.

제3기 위암환자에서의 근치적 위절제술 후 투여한 면역치료제인

메시마(MesimaR)의 면역항진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 의대 김진복 교수팀, 대한암학회지 발표자료, 1997년

치료 대상

위절제술을 받은 말기 위암 환자 : 남자; 26명, 여자: 14명

치료 약물

  • 제 1군 : Mesima-Ex 1g씩 1일 3회
    식후 30분마다 경구투여 + MMC, 5-FU (10명)
  • 제 2군 : 1군과 동일한 성상의 Placebo 투여 + MMC, 5-FU (6명)

메시마와 화학요법제 Mitomycin-C(MMC)와 5-FU를 함께 투여한 후

환자의 면역 회복능

수술전에 T3 림프구수 대비 수술 7개월 후

수술전에 T4 림프구 대비 수술 7개월 후

T3 림프구 수율

T4 림프구 수율

제1군 Mesima
+ MMC + 5-FU

88.90%

78.70%

제2군 Mesima
+ 5 - FU

63.50%

64.80%

치료 결과

위절제술을 받은 말기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메시마를 투여한 후 T 림프구의 수를 조사함으로 면역 회복능을 평가한 결과 T림프구의 총수, 조력 T림프구의 수의 회복율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요법제 처리구 보다 메시마 병용 처리구가 더 빠른 결과를 보였다.

임상사례 6.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위암 환자에서

상황(메시마엑스)의 항종양효과
연세대 의대 김주항 교수팀, 한국내과학회지 발표자료, 1996년

치료 대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진행성 위선암 환자 67명

치료 약물

  • 항암 화학 요법 및 메시마엑스 투여 대조군
  • 5-Fluorouracil + Adriamycin 투여군
  • 5-Fluorouracil + Adriamycin + 메시마엑스

치료 결과

메시마를 화학용법제와 함께 투여한 투여군과 화학요법제만 투여한 대조군과의 위절제수술 후 진행성 위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자연살해세포 (NK cell)의 활성 정도와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Antibody-dependent cell mediated cytotoxicity)를 조사한 결과 2개월, 4개월 후 모두 메시마를 함께 처리한 투여군이 활성능이 기본 수치(baseline)에 비교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시마의 면역증강효과에 의한 뚜렷한 생체내 반응으로 위절제수술후 화학요법제와 메시마를 함께 투여하는 것은 암을 극복하는 데 뛰어난 효능 효과가 있음을 보인다.

메시마엑스 투여군과 대조군의 치료시작시와 치료 4개월 후의

면역활성도 비교

Group

투여군 (N=30)

대조군 (N=37)

(%)

자연살해
세포능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자연치사
세포능

항체의존성
세포독성능

Baseline

26%

38.6%

28.1%

53%

2 months

28.9%

42.1%

27.3%

47.4%

위절제수술후 메시마엑스 투여군과 대조군의

재발 억제율

메시마 투여군과 대조군에 대한 위절제수술후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하여 재발 여부를 조사한 결과 메시마 처리구가 미처리구에 비해 77%로 재발율이 적었다. 이는 메시마의 복용에 따른 면역항진효과 (지속적인 효능효과) 에 의하여 재발이 억제된 것임을 알 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임상사례 7.

메시마엑스산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 의대 김삼용 교수, 대한암학회지 발표자료, 1991년

치료 대상

  • 위암 9명
  • 간암 3명
  • 원발생부위가 불명확한 암 2명
  • 대직장암 2명
  • 기타 6명을

포함한 말기 암환자 총22명으로 남자 16명과 여자 6명을 대상으로 함.

치료 약물

A. Cyclophosphamide + 메시마엑스산
( 수술후 보조면역요법으로 혹은 행동능력이 ECOG III에 해당하는 진행암등에서 cyclophosphamide를 제1일에 정맥주사하고 제4일부터 17일가지 메시마엑스산을 경구투여하여 4주를 주기로 반복치료)

B. 항암요법과 메시마엑스산의 병용
(진행암에 대한 복합화학요법 또는 수술후 보조요법으로 화학요법을 실시할 경우 화학요법과 함께 매일 메시마엑스산 3g을 3회 분할하여 경구투여함)

치료 결과

  1. 말초혈액 보조 T 림프구가 치료전 35.8±3.0%에서 치료후 40.5±2.5%로 상승하였고 CD4/CD5 비도 치료전 1.1±0.12 치료후 1.4±0.13으로 상승
  2. PHA 자극시 림프구 증식반응은 치료전 17009±6009cpm이었고 치료후 51682±9846cpm으로 상승하였다. 림프구 자극지수도 치료전 11.5±2.9에서 치료후 29.8±5.5로 상승하였다.
  3. 면역검사가 시행된 15명 중 12명(80%)에서 면역기능이 개선되었다.
  4. 진행암 9례중 1례에서 부분반응을 8례에서 안정반응을 보였고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에 메시마엑스산을 병용한 13례는 모두 재발없이 생활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메시마 엑스산이 각종 암환자에게 면역기능의 증강효과를 크게 보이며 부작용이 적고 간접적인 항암작용이 우수한 약물임을 입증하고 있다